시조
허선문 許宣文  양천허씨 시조 허선문(許宣文) - 공암촌주(孔巖村主), 혹은 대광공(大匡公) 공암현(孔巖縣)에 세거할 때 부농(富農)이었는데, 고려 태조가 견훤(甄萱)과 싸울 때 군량(軍糧)이 떨어져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음을 보고 재곡(財穀)을 공급해 병마(兵馬)의 사기를 높여 후백제군을 격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. 그리하여 왕건(王建)으로부터 가부(假父)라는 칭호와 함께 공암촌주(孔巖村主)로 봉해지고 공암현(孔巖縣)을 식읍(食邑) 으로 하사받아 관향(貫鄕)을 공암(孔巖)으로 하였다. 공암(孔巖)은 양천(陽川)의 옛이름이다. |
|
2세
현 玄  2세손 현(玄) - 소부소감(少府少監) 소부감少府監) : 나라의 중요 물건 보관창고를 관리하는 관청 소감(少監) : 고려시대 관직. 종4품 군기감(軍器監), 비서성(秘書省), 사재감(司宰監), 사진감(司津監), 사천대(司天臺), 소부감(小府監), 장작감(將作監), 전중성(殿中省), 태의감(太醫監) 등에 둔 관직으로 각 관청 우두머리인 감(監)의 아래 부책임자급이다.
|
|
3세
원 元  3세손 원(元) - 예빈성경(禮賓省卿) 예빈성(禮賓省) : 국빈을 접대하는 관청, 그 장은 경(卿)이라 하였다. 의전실과 같다.
|
|
4세
정 正  4세손 정(正) - 예부시랑(禮部侍郞) 예부(禮部) : 고려 때 상서성(尙書省) 소속의 6부(六部) 중 하나로 외교관계와 백성의 교육·풍교(風敎) 등을 관장하는데 지금의 교육·외교부처와 같은 관청. 시랑(侍郞) : 정4품 벼슬 |
|
5세
재 載  5세손 재(載) - 평장사(平章事) 평장사(平章事) : 고려 때 문하부(門下府) 소속의 정2품의 벼슬 |
|
6세
순 純  6세손 순(純) - 공부상서( 工部尙書) 공부(工部) : 고려 때 상서성(尙書省) 소속의 6부(六部)중 하나로 공업과 농업을 맡아 관장하는 기관 상서(尙書) : 고려 때 6부에 두었던 정3품의 벼슬로 판서·전서 등으로 변경되었다. |
|
7세
이섭 利涉  7세손 이섭(利涉) - 전구서령(典廐署令) 전구서(典廐署) : 고려 때 가축의 사육을 맡아보던 관청. 영(令; 署令)은 종5품 벼슬 |
|
8세
경 京  8세손 경(京) - 좌복야(左僕射) 좌복야(左僕射) : 고려 때 상서도성(尙書都省) 소속의 정2품의 벼슬로 상서령(尙書令) 다음의 벼슬 |
|
9세
수 遂  9세손 수(遂) - 예부상서(禮部尙書) 예부(禮部) : 고려 때 상서성(尙書省) 소속의 6부(六部) 중 하나로 외교관계와 백성의 교육·풍교(風敎) 등을 관장하는데 지금의 교육·외교부처와 같은 관청. 상서(尙書) : 고려 때 6부에 두었던 정3품의 벼슬
|
|
10세
공 珙  10세손 공(珙) - 문경공(文敬公) 고려의 문신. 시호는 문경공(文敬公). 추밀원부사 때 전주도도지휘사가 되어 300척의 전함 건조를 담당하였다. 첨의부지사 때 전함 90척을 건조하게 되자, 경상도도지휘사로 이를 지휘하였다. 《고금록》을 찬술하였으며 후에 원나라와 함께 합단(哈丹)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하였다. |
|
11세
정 程 동주사공
숭 嵩 양숙공
관 冠 판도좌랑공
총 寵 无后
부 富 대제학 |
|
12세
선 瑄
종 悰 无后
백 伯
신 信 |
|
동주사공파 東州使公派
판도좌랑공파 版圖佐郞公派
대제학공파 大提學公派 |